건강관련정보/의료

감기가 폐렴으로 진행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.

newsbaek 2025. 3. 14. 13:10

사진: Unsplash 의 Matthew Henry

감기가 폐렴으로 진행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.

1. 감기 (상기도 감염)

원인: 바이러스(예: 라이노바이러스, 코로나바이러스 등)에 의해 감염

증상: 콧물, 코막힘, 인후통, 미열, 기침, 가벼운 근육통

대개 면역력이 정상이라면 1~2주 내에 회복됨


2. 기관지염 또는 폐 감염 발생

감기가 심해지거나 면역력이 약한 경우, 감염이 기관지(세기관지염)나 폐로 확산될 수 있음

세균(폐렴구균,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등)이나 바이러스(인플루엔자, RSV 등)가 추가 감염될 위험 증가

증상 악화: 기침 증가, 가래(노란색/녹색), 발열 지속


3. 폐렴 진행

감염이 폐의 폐포(공기주머니)로 퍼지면 폐렴으로 발전

염증과 삼출물(체액)이 폐포를 채워 산소 교환 방해

주요 증상:

고열(38~40℃)

심한 기침, 가래(피 섞일 수도 있음)

호흡 곤란, 가슴 통증

전신 쇠약감, 오한

고령자나 면역 저하자의 경우 의식 저하, 식욕 저하



4. 중증 폐렴 및 합병증 발생 가능

폐렴이 악화되면 패혈증, 호흡부전(산소 부족), 흉막염(늑막에 염증) 등의 합병증 위험

면역력이 약한 사람(노인, 만성질환자 등)은 입원 치료 필요할 수도 있음


예방 및 조기 대처

감기 초기에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

손 씻기, 마스크 착용 등 위생 관리

폐렴구균 및 독감 예방접종

감기 증상이 심해지고 고열, 호흡 곤란이 나타나면 병원 진료


감기가 폐렴으로 발전하는 것은 흔하지 않지만, 면역력이 약한 경우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

반응형